공부집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4주차 후기 본문
필수링크: https://bit.ly/3D9XCOz
메모리 관리를 위해서 go defer 꼭 사용
resources:
requsets: // 최소 이만큼 리소스 사용할 수 있는 노드에 할당
memory: "64Mi"
cpu: "500m"
limit: // 리소스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
memory: "64Mi"
cpu: "500m"
log aggregator: 로그 수집용 사이드카
pod은 HPA로 개수 늘림
node는 auto scaler 를 사용해서 늘릴 수 있음
taint, toleration
taint은 node에 지정하는 설정임 (pod이 스케줄이 되지 않음)
toleration은 pod에 설정(노드에 걸린 taint을 무시하고 설정)
NoSchedule: k8s scheduler에게 띄우지 않도록 하는 것
NoExecute: 기존 pod도 제거함, NoSchedule 보다 강력
affinity
toleration 보다 operator가 다양함
Redis bind
클라이언트 IP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고, 레디스 서버가 설치된 서버에 여러 개의 IP 중 레디스 서버가 사용할(listen/accept)할 것을 등록한다. 즉, ifconfig로 나오는 IP 중에서 bind에 등록하는 것이다.
보호모드(protected-mode) 설정과 바인드 설정으로 외부에서 redis에 접속할 때 사용하는 ip를 등록한다.
ex>
bind:
- BIND 127.0.0.1 -> 서버 내부에서만 접속을 허용
- 주석(comment)처리 또는 BIND 0.0.0.0 -> 모든 IP로 접속을 허용
protected-mode: yes/no로 설정한다. Default는 yes이다.
- Yes이고 bind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한 IP로만 접속할 수 있다.
- Yes이고 bind가 지정되지 않았으면(comment) 127.0.0.1 (local)만 접속할 수 있다.
- No이고 bind가 지정되어 있으면 지정한 IP만 접속할 수 있다.
- No이고 bind가 지정되지 않았으면(comment) 모든 IP로 접속할 수 있다.
LRU(Least-Recently-Used): 오래전에 사용된 것부터 삭제, 빈도수는 확인하지 않음
LFU(Least-Frequently-Used): 가장 빈도가 적게 사용된 것 부터 삭제
'comento > 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6주차 후기 (0) | 2022.10.07 |
---|---|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5주차 후기 (1) | 2022.10.07 |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3주차 후기 (0) | 2022.10.07 |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2주차 후기 (0) | 2022.10.07 |
코멘토 실무PT 후기 챌린지_쿠버네티스 강의 1주차 후기 (1) | 2022.10.07 |
Comments